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NICE평가정보 종목분석 및 투자전략

by 입맛까다로운 2025. 7. 11.
반응형

목차

    NICE평가정보는 신용평가 기업입니다. NICE평가정보의 종목분석 및 최근실적과 투자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    기업 개요 및 사업 구조

    NICE평가정보는 1985년 신용정보법에 근거해 설립된 국내 대표 신용평가 및 정보 서비스 기업입니다. 주요 사업은 신용평가, 신용조회, 신용조사, 채권추심 등으로, 2023년 유가증권시장(코스피)으로 이전 상장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개인 CB(신용정보조회) 부문에서 업계 1위, 기업 CB 부문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• 주요 사업 비중: 개인 CB 약 65%, 기업 CB 20%, 빅데이터·채권추심 등 기타 15%.
    • 해외 사업: 베트남, 인도네시아, 태국 등 동남아 시장 중심으로 해외 진출 확대 중.

    최근 실적 및 재무 현황

    구분 2024년 실적 전년 대비
    매출액  5,350억 원  +10.2%
    영업이익 870억 원  +33.1%
    당기순이익  762억 원  +35.9%

    2025년 1분기에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.8% 증가, 영업이익은 43.2% 증가, 당기순이익은 8.0% 증가하는 등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

    • 19년간 매출액 CAGR: 8.0%
    • 19년간 영업이익 CAGR: 12.2%

    투자전략 및 투자 매력

    1. 성장 동력

    신용평가 시장의 지속적 성장: 금융 플랫폼 다변화, 마이데이터 사업 확대에 힘입어 신용평가 서비스 수요가 꾸준히 증가.

    해외 시장 개척: 동남아 등 신흥국에서 신용평가 서비스 수요 증가, 추가 매출 성장 기대.

    핀테크·금융권 협업: 금융기관 및 핀테크와의 협업을 통한 신규 수익원 창출.

    디지털 매출 확대: 데이터 활용 및 디지털 서비스 강화로 성장 잠재력 확보.

     

    2. 주주환원 정책

    배당성장주: 최근 5년 평균 배당성향 35.2%, 매년 DPS(주당배당금) 증가, 자사주 매입·소각 정책 병행.

    예상 배당수익률: 4.5~5.0%로 고배당주로 평가.

     

    3. 투자 전략

    • 장기 투자 관점: 안정적 실적 성장과 배당 매력을 모두 갖춘 우량주로 포트폴리오 편입 가치 충분.
    • 저평가 구간 포착: 최근 주가 하락세와 PER 11~13배 수준의 밸류에이션은 저평가 구간으로,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.
    • 리스크 관리: 금리 변동, 경쟁 심화, 해외 사업 리스크 등은 지속 점검 필요.

   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

    증권사 투자의견 목표주가  주요 코멘트
    LS증권 매수  16,000원  영업이익 고성장, 신사업·해외진출 모멘텀
    한국경제 컨센서스 매수  18,000원  2025년 실적 고성장, 배당성장주 
    기타 매수 14,000~20,000원  저평가, 장기 성장성

    대다수 애널리스트들은 '매수' 의견을 유지하고 있으며, 2025년에도 영업이익 10~20%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. 목표주가는 16,000~20,000원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.

    향후 전망

    • 중장기 성장성: 신용평가 시장 확대, 마이데이터·핀테크 협업, 해외 진출 등 다양한 성장 동력 보유.
    • 안정적 배당: 배당성장 정책과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강화.
    • 밸류에이션 매력: 역사적 평균 대비 저평가 구간, 중장기 투자 매력 부각.
    • 단기 리스크: 최근 주가 하락, 외부 경제 환경 변화 등 단기 변동성은 주의 필요.

    결론

    NICE평가정보는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높은 배당 매력을 동시에 갖춘 대표적인 금융 인프라 기업입니다. 신용평가 시장의 꾸준한 확장, 마이데이터 및 해외 진출 등 다양한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중장기 투자 매력이 높으며, 배당 투자자에게도 적합한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다만, 단기 변동성 및 외부 리스크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.

    반응형

    댓글